목록분류 전체보기 (40)
평범한 고딩 네트워크 공부일기

1. VLAN이란?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브로드캐스트가 서로 미치지 않는 여러 개의 논리적인 LAN을 만드는 기술한마디로 가상 LAN을 만드는 기술임VLAN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비는 VLAN을 다수 생성할 수 있고 이 VLAN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눌 수 있음VLAN은 1~4094까지의 번호를 사용하여 구분지음. 이를 VLAN ID라고 함.1~1005까지는 Normal(일반) VLAN이며 이중 1002~1005은 토큰링과 FDDI용으로 사용함.1006~4094까지는 Extended(확장) VLAN이다. 2. VLAN 사용 목적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분할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확장시키고, 높은 보안을 유지VLAN은 브로드캐스트 데이터의 전송을 제한하는 특성이 있음..

IPv4란?IPv4 (Intenet Protocol version 4): 인터넷에서 장치를 식별하고 위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주소체계논리적으로 정의되어 있는 주소인데, 현실과 비교하면 집 주소와 같은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현실에서 배달을 시키는 상황에서 배달 기사는 목적지의 주소를 보고 배달을 하게 된다.네트워크도 이와 같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그 데이터는 패킷의 형태로 헤더에 붙어 있는 목적지 IP 주소를 보고 전달이 되게 된다. IP 헤더위에 이미지가 IP 헤더이다. IP 헤더는 패킷의 앞 부분에 붙어있다.헤더를 보고 어디로 전송하고, 헤더의 길이는 몇 바이트이고, TTL은 몇이고, 프로토콜은 무엇이며, 출발지/목적지 IP는 무엇인지 등의 정보가 담기게 된다.헤더는 주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IP를 설정하기 위해선 본인이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해야 한다.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ip a 라는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저기서 lo 라고 적힌 부분은 localhost라는 의미이고 ens33이 우리가 사용해야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이제 설정값을 수정해주기 위해서 아래 경로를 통해 들어가 설정 파일을 수정해주어야 한다./etc/network/interfaces 동적 IP 할당하기위에 기술한 설정 파일에 접속했다면 코드를 수정해주어야 한다. 동적 IP를 할당받기 위해서는 DHCP를 통해 설정을 받아야 한다. interfaces 파일은 아래와 같이 수정해준다.처음에는 auto ens33 이라고 적힌 부분이 allow-hotplug e..
STP회선 이중화단일 경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선 이중화를 구성한다. 하나의 회선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회선으로 통신을 보장한다.하지만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Broadcast Storm이 발생하게 된다.broadcast는 수신한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flooding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 STP이다. Switch JammingSwitch Jamming은 네트워크 스위치를 목표로 하는 공격 기술로, 스위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주로 스위치의 트래픽 관리 기능을 마비시키거나, 스위치의 메모리와 CPU 자원을 소모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패킷 처리를 방해하는 공격 기법이다.Switch Jamming을 방어하는 방법 중 하나가 P..

택트 스위치택트스위치는, 4개의 핀중 2쌍은 연결되어있고, 그 2쌍은 서로 가운데 스위치를 두고 연결되어 있다.평소에는 a는 a끼리, b는 b끼리만 통전되다가, 스위치를 누르면 가운데가 연결되며 핀4개가 모두 통전되는 방식이다.import RPi.GPIO as IoPortSw1 = 8Led = 18IoPort.setmode(IoPort.BCM)IoPort.setup(Led, IoPort.OUT)IoPort.setup(Sw1, IoPort.IN)while True: rcv = IoPort.input(Sw1) IoPort.output(Led, rcv) 부저부저에서 소리가 나는 원리는 피에조 효과(압전효과)와 같다. 압전 효과는 물체에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역으로 전압을 가하면 기계..

DHCP 이론 DHCP란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의 약자로, 호스트의 IP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이다. DHCP는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IP주소를 DHCP서버가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DHCP지원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부팅과정에서 DHCP서버에 IP주소를 요청하고 이를 얻을 수 있다. DHCP의 장점은 PC의 수가 많거나 PC 자체 변동사항이 많은 경우 IP 설정이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기 때문에 IP 충돌을 막을 수 있다. DHCP의 단점은 DHCP 서버에 의존되기 때문에 서버가..

라즈베리파이란?기초 컴퓨터 과학 교육용 프로젝트의 목적으로 개발한 신용카드 크기의 초소형/초저가 PC이다.Linux OS를 기반으로 세부적인 설정을 제공함으로 프로그래머에 맞춤형 환경 제공한다.라즈베리파이와 일반컴퓨터의 차이점으로 라즈베리파이는 활용도가 더 높다. 라즈베리파이 핀 > LED 실습 Raspberry Pi에 VSC로 원격 연결하고, 다음 코드를 실행한다.import RPi.GPIO as GPIOimport timeGPIO.setmode(GPIO.BOARD)LED = 11GPIO.setup(LED, GPIO.OUT, initial=GPIO.LOW)try: while 1: GPIO.output(LED, GPIO.HIGH) time.sleep(0.5) ..

GNS3로 핑 보내기 이 토폴로지에서 sunrin-1과 PC1이 ping 통신이 성공하면 된다.우선 IP 부터 설정해야 하는데 VPC는 패킷 트레이서와 다르게 "ip [ip address/mask] [default gateway]" 형식으로 적어주면 된다. 이제 PC1에는 IP 설정이 마무리 되었고 이제 sunrin-1에 IP를 할당해야 한다.ubuntu server에서 관리자 계정으로 전환하고, 네트워크 설정 문서 파일을 편집해야 하기 때문에,"vi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를 쳐준다. 뒤에 번호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vi /etc/netp"를 친 후 tap키를 두 번 눌러도 된다. 그럼 이러한 창이 나고에 되는데 "ethernets:" 아래에,netwo..

DNS와 자원도메인 네임과 네임 서버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대 호스트를 특정하기 위해 IP 주소보다는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을 많이 사용한다. 도메인 네임은 호스트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문자열 형태의 호스트 특정 정보이다.IP 주소를 전화번호에 비유하면 도메인 네임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름과 같다.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는 네임 서버(Name Server)에서 관리한다. 도메인 네임을 관리하는 네임 서버는 DNS 서버라고 부른다. 네임 서버는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과 IP 주소를 모아 관리하는 '공용' 전화번호부와 같은 역할을 한다. 도메인 네임을 네임 서버에 정의하면 해당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 주소를 알려 주는 방식으로 도메인 네임을 통해 IP 주소를 알아낼 수 있다. 도메인 ..

Codeup - 1610 이 문제는 문자열을 입력 받고 이후에 시작 위치와 글자 개수를 입력 받아서 그 만큼 문자열을 출력하는 문제입니다.def mysubstr(a, b, c): return a[b:b+c]a = input()b, c = map(int, input().split())print(mysubstr(a, b, c)) a로 문자열을 입력 받고, b는 시작 위치, c는 글자 개수를 입력 받습니다. mysubstr에서 b부터 b+c 만큼 출력할 수 있게 코드를 작성하였습니다. Codeup - 1620 이 문제는 어떤 수 n이 입력되면 각 자리 수를 계속 더하여 한 자릿수로 만들어 출력하는 문제입니다.def add(n): while n >= 10: temp = 0 ..